성경, 예수님

창세기 3장, QT (Quiet Time)

Jesus is the answer 2022. 5. 1. 07:17

창세기 3장

선택한 말씀
11,21절

제목
하나님을 인색한 분으로 의심하는 죄악을 버리고 예수님의 말씀과 같이 인자하신 하나님의 인자하심을 본받는 하나님의 자녀로 살자.

1
여호와 하나님의 지으신 들짐승 중에 뱀이 가장 간교하더라 뱀이 여자에게 물어 가로되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더러 동산 모든 나무의 실과를 먹지 말라 하시더냐
3
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의 실과는 하나님의 말씀에 너희는 먹지도 말고 만지지도 말라 너희가 죽을까 하노라 하셨느니라
6
여자가 그 나무를 본즉 먹음직도 하고 보암직도 하고 지혜롭게 할만큼 탐스럽기도 한 나무인지라 여자가 그 실과를 따먹고 자기와 함께한 남편에게도 주매 그도 먹은지라
10
가로되 내가 동산에서 하나님의 소리를 듣고 내가 벗었으므로 두려워하여 숨었나이다  
11
가라사대 누가 너의 벗었음을 네게 고하였느냐 내가 너더러 먹지 말라 명한 그 나무 실과를 네가 먹었느냐
19
네가 얼굴에 땀이 흘러야 식물을 먹고 필경은 흙으로 돌아 가리니 그 속에서 네가 취함을 입었음이라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이니라 하시니라
21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과 그 아내를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시니라
22
여호와 하나님이 가라사대 보라 이 사람이 선악을 아는 일에 우리 중 하나 같이 되었으니 그가 그 손을 들어 생명나무 실과도 따먹고 영생할까 하노라 하시고




하나님을 인색한 분으로 의심하는 것이 사탄의 계획이고 죄의 시작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말씀과 같이 하나님은 인색하신 분이 아니고 인자하시고 사랑이 많으신 하나님이십니다.
예수님께서는 하나님 아버지의 자비하심과 같이 우리들도 자비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너희 아버지의 자비하심 같이 너희도 자비하라"
(눅6:36)


들짐승 중에 가장 간교한 뱀이 여자에게 한 질문은 하나님을 인색하고 째째하고 치사한 분으로 의심하게 하는 질문이었습니다.
그것이 사탄의 계획이고 전략이며 죄악의 시작입니다.
여자 하와가 그 죄에 빠지기 시작한 것도 스스로 하나님의 말씀을 바꾸고 왜곡하는데, 그것은 하나님을  인색하신 분으로 의심하는데서 시작하는 것이라 묵상됩니다.
하나님께서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를 먹으면 정녕 죽으리라고 말씀하셨는데,
하와는 만지지도 말라 와 죽을까 하노라 고 말하며 하나님의 말씀을 왜곡하고 하나님을 의심하는 마음으로 바뀌어 갔습니다.
결국 먹음직(육신의 정욕), 보암직(안목의 정욕), 탐스러움(이생의 자랑)의 자기 욕심과 유혹에 넘어가 하나님을 거역하였습니다.
아담과 하와는 결국 죄를 지은 결과로 하나님을 피하여 숨었습니다.
그로 인하여 아담과 하와, 즉 사람에게는 사망이 왔고 죽음이라는 죄악의 벌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 상황에서도 동물을 잡아서 사람을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입혀 주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선이 영생하는 것을 원하시고 악은 영생하지 않기를 원하십니다.
(22절)
그러므로 악은 모든 모양이라도 버리라는 말씀대로 살아야합니다. (살전5:22)

예수님을 시험한 사탄의 모습에서 사탄은 하나님을 인색한 분으로 의심하도록 하였고
예수님께서는 하나님을 사랑이 많으시고 인자하신 아버지로 아시고 하나님의 말씀으로 승리하셨습니다.

...하나님의 입으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살 것이라...(마4:4)
...주 너의 하나님을 시험치 말라...(마4:7)
...사단아 물러가라 기록되었으되 주 너의 하나님께 경배하고 다만 그를 섬기라 하였느니라 (마4:10)


오늘 말씀에서 가르쳐주신 하나님의 말씀을 삶에 적용하고 기도가 됩니다.
하나님을 인색한 분으로 의심하는 것이 죄악의 시작임을 분명히 알아야겠습니다.
하나님은 인자하시고 사랑이 많으시고 하나뿐인 아들이신 예수님을 보내주시어
우리 모든 사람을 죄와 죽음에서 건져주시는 사랑이 많으시고 자비하시고 인자하신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의 인자하심과 자비하심을 본받아 예수님을 믿는 믿음으로 하나님을 사랑하고
하나님의 사랑을 나타내고
하나님의 사랑이신 예수님과 복음의 소식을 전하여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고 구원을 얻기를 소망하고 기도합니다.


반응형